아서 댈러스

덤프버전 :



아서 댈러스
Arthur Dallas


파일:아서 댈러스 에이리언 1 이미지 2.jpg

2122년 시점
본명
아서 코블렌츠 댈러스
Arthur Koblenz Dallas
국적
아메리카 연합 파일:아메리카 연합(에이리언 시리즈).png
성별
남성
출생
2075년 2월 27일
지구 미국 몬타나 주 웨스트 포인트
나이
47세 (1편 시점, 2122년)
신장
180.3cm[1]
머리카락
회색이 섞인 검은색

벽안
소속
아메리카 연합 아우터 림 방위군[2] (1편 이전, 2122년 이전)
USCSS 스나크 비행사 및 항해사 (1편 이전, 2122년 이전)
USCSS 트레몰리노 선장 (1편 이전, 2122년 이전)
USCSS 노스트로모 선장 (1편 시점, 2122년)
직급
선장 (Captain)
일련번호
I.D.#: 032/V4-07C

[ 정보 더 보기 ]
가족
댈러스 가문
아버지 : 이름 불명
어머니 : 이름 불명
배우
파일:미국 국기.svg
톰 스커릿
성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엄주환 SBS판
파일:미국 국기.svg
톰 스커릿


Arthur Koblenz Dallas (Dallas)

1. 개요
2. 작중 행적
3. 평가
4. 기타




1. 개요[편집]


웨이랜드 유타니 회사 산하의 우주예인선 노스트로모 호의 선장이다.


2. 작중 행적[편집]



2.1. 에이리언[편집]


파일:아서 댈러스 이미지.jpg
메인 컴퓨터 마더의 지령 및 회사와의 계약 사항에 따라 LV-426의 탐사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토머스 케인조안 램버트를 이끌고 스페이스 자키에일리언 알들이 있는 우주선 유적으로 탐사를 갔다. 케인이 페이스 허거의 숙주가 되자 노스트로모 호로 돌아왔지만, 외계 유기체와 접촉시 24시간 완전 격리조치라는 검역 규정에 따라 엘렌 리플리가 우주선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게 하자 명령이라며 당장 문을 열라고 소리친다. 감독판에선 우주선 안으로 들어온 뒤 램버트가 리플리의 따귀를 후려치며 화를 내자 댈러스도 덩달아 리플리에게 언성을 높이는 장면이 있다. 노스트로모 호에 이상이 생겨 화물선으로 귀환이 어려워지는 동안 내내 예민한 모습을 보인다.

이후 애쉬가 케인에게서 떨어져나가 죽은 페이스 허거를 가지고 가야 한다고 주장하자 태워버리고 싶지만 과학팀의 의견이 그렇다면 어쩔 수 없다고 말한다. 리플리가 이에 대해 반발하자 회사 규정이 그렇게 된 걸 나보고 어쩌냐고 하는 걸 보아, 리플리만큼 빈틈없이 일을 진행하는 타입은 아닌 듯. 리플리가 애쉬를 믿을 수 없다고 말하자, "난 아무도 안 믿지"라고 말한다.[3][4]

케인이 의식을 회복하자 기분이 좋아져서 자신이 모두의 식사를 계산해주겠다고 말했지만, 하필 그 식사 도중 체스트 버스터가 튀어나오는 사태가 벌어진다. 이후 에일리언을 잡기 위한 작전을 진행했으며, 성체로 성장해서 통풍구로 돌아다니고 있다는 걸 알자 통풍구를 하나하나 차단해 우주공간으로 내보낸다는 작전을 세운다.


2.1.1. 최후[편집]




극장판 최후
감독판 최후

나 안전한 거야, 램버트? 얼른 나가고 싶은데.

극장판

나 좀 죽여줘...!

감독판

유언


통풍구로 들어가 에일리언을 몰아내는 역할에 리플리가 자원하자 반대하고 자신이 직접 화염방사기를 들고 들어간다. 그 직전 마더에게 여러 조언을 구하지만 다 무시당했다.[5] 그리고 통풍구에서 천천히 나아가던 도중 에일리언에게 당하고 만다.

극장판에서는 화염방사기만 떨어져 있을 뿐 댈러스도 피도 발견되지 않았다는 데니스 파커의 대사 이후 다시 등장하거나 언급되지 않지만, 감독판에서는 댈러스가 그 뒤 어떻게 되었는지 나온다. 노스트로모 호의 자폭 시스템을 가동시킨 리플리가 지하 구획을 통해 이동하던 도중 어디선가 흘러나오는 신음소리를 따라 벽 귀퉁이에 도달하자, 이상한 물질에 뒤덮여서 머리만 내놓은 괴이한 모습으로 있었다. 앞서 붙들려간 브렛은 그 옆에서 거의 에일리언의 알과 같은 형상이 되어 원래 모습조차 알아보기 힘든 상태.

거의 인사불성 상태가 되어 죽여달라는 말만 중얼거리고 있었고, 이에 리플리는 눈물을 머금고 화염방사기로 댈러스를 태워죽인다.


3. 평가[편집]


1편 당시 댈러스와 리플리의 대립을 두고 전통적 가부장적 권위의 남성과 여성의 대립이라 해석하는 의견도 있다. 여성인 리플리의 의견을 무시하는 모습과 직급이 낮은 데니스 파커의 의견에 대꾸도 하지 않는 등 권위를 상징하는 인물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박도 있는데, 상황파악을 하고 항명 사태를 감수하면서라도 사건을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주인공과 사건 해결보다도 자신에게 반발하는 부하에게 불만을 품고 찍어 누르려는 상관의 대립 클리셰는 성별과 무관하게 흔히 볼 수 있는 클리셰인데 이것을 그저 성별갈등으로 해석하는 것은 오류라는 내용이다.


4. 기타[편집]


  • 소설판에서는 비중이 훨씬 높으며, 제노모프에게 당하기 직전까지 리플리와 함께 더블 주인공으로 활약한다. 소설판의 댈러스는 “이런 장거리 화물선에서 썩고 있을 인재가 아니다”라는 평가를 주변 인물들에게 받고 있으며, 특히 리플리는 댈러스가 왜 노스트로모에 탔을까 하고 내심 궁금해하기도 했다. 답이 좀 황당한데, 댈러스는 우주 매니아로 장거리 우주 항해 자체를 좋아하는 인간이기 때문이라 한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에이리언 타이렐 사.jpg}}} ||
에일리언 2편에서 나온 댈러스의 기록을 살펴보면 과거에 타이렐 사에서 일했던 적이 있었다고 나온다. 리들리 스콧 감독의 또 다른 걸작인 블레이드 러너에서 등장하는 초거대기업으로, 이 때문에 한동안 에이리언 시리즈와 블레이드 러너가 같은 세계관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오기도 했다. 그러나 두 세계관의 연표는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2편 감독인 제임스 카메론이 이스터에그 식으로 집어넣은 재미 요소라고만 생각하는 것이 옳다.[6]

  • 에일리언 1의 초기 시나리오에는 댈러스가 엘렌 리플리성관계를 하는 장면이 있었다고 한다. 소설판에서는 승무원들이 장거리 항해 중의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종종 성관계를 갖는다는 언급이 있다. 노스트로모의 두 여성 승무원들은 애쉬만 빼고 다른 남자 승무원들과 다 자 봤다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1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15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7 00:23:34에 나무위키 아서 댈러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리플리와 키가 같다.[2] 2편에 등장하는 우주 해병대의 전신이다.[3] 감독판에서는 삭제된 장면.[4] 이 대사는 4편에서 크러스티가 그대로 말함으로써 오마쥬됐다.[5] 역시 감독판에서는 삭제되었다.[6] 타이렐 사는 1999년에 창설되어 2022년에 폐업했지만, 에이리언 1편 시점은 2122년으로 까마득한 미래이다. 이를 억지로 끼워맞추려면 댈러스가 최소 120세 이상의 노인이어야만 한다(...).